명절이 되면 천주교 신자들은 제사 문제 때문에 갈등하곤 한다.
본당에서 위령 미사만 봉헌하고 명절을 지낼 것인지, 또는 위령 미사도 드리고 집에서 제사를 지낼 것인지, 또는 집에서 제사만 지낼 것인지, 더 나아가 전통적인 제사를 지낼 것인지 아니면 위령 기도(연도)라도 바쳐야 할 것인지 방향을 정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결정은 언제나 그렇듯이 자기 집안이 해오던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곤 한다.
천주교에서는 제사를 지내도록 허용하고 있다. 어떤 면에서는 권장하고 있다 하겠다.
가톨릭 신자들이 증가하면서 신앙을 갖지 않았을 때 지내던 제사를 신자가 된 다음에 가정 안에서 이 전통의 예를 어떻게 변화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대책도 필요할 것이다.
그들에게 그리스도교적인 제사를 지내도록 자연스럽게 인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 신앙의 뿌리가 깊은 집안은 오랫동안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위령 미사로 그 깊은 신앙을 드러내고 표현하였다. 그런데 현대 사회에 와서 제사를 지내지 않는 관습과 더불어 신앙이 약해졌을 때에 이것도 저것도 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가족들은 제사를 통해 그리스도인의 신앙을 더욱 키워 가고 굳게 할 매개물로 교육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 한국 천주교회에서 시안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동안 제시되었던 몇 가지 제사 양식을 소개한다.
여기에 붙여진 제사의 이름들도 소개될 때 쓰인 이름으로 편의상 붙인 것일 뿐이다. 그 제사의 이름이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제사 양식을 꾸미는 데는 여러 형태의 예식들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안들 안에서 천주교의 제사를 이루는 요소들을 나열해 보면, 기존의 제사 양식, 말씀 전례, 고인을 위한 기도, 그 외에 명절 때 조상에게 드리는 예(禮)의 요소와 축복 기원(전구), 또한 그리스도교적 예배에서 갖는 간구와 축복(찬미) 등이 이 제사들을 이루는 요소들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시된 세 가지 시안은 다음과 같다.
■ 차례 제사
주로 한가위 명절 중심의 제사로 제시된 간단한 형태의 말씀 전례와 제사의 중심인 축문과 배례, 그리고 그리스도교 신자의 신앙 고백과 여러 기도들로 구성되었다.
■ 조상 제사 예식
기존의 제사 양식을 기본 틀로 잡고 일부 기도와 말씀 봉독을 삽입한 형태로 간결한 시안이다. 주로 기일을 위한 것이며 명절 제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제주의 권고 등 말씀 나누기와 개인 기도 등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 가톨릭 제사
교회의 기도인 위령 기도(연도)에 제사의 공경 절차를 복합시킨 제사 시안이다. 연도를 마친 다음 성서 봉독과 여러 기도를 선택적으로 드린 다음 제사의 공경 절차를 거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시안 모두 제사를 준비하는 단계는 비슷하며 일반적인 제사 준비와 일맥상통하고 공통적이다. 또 다음에 제시된 양식들 가운데서 성서 말씀이나 성가 등은 공통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또 제사의 핵심인 '축문'은 경우에 따라 3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공통으로 호환할 수 있을 것이며 고쳐 쓸 수 있을 것이다.
2. 차례 제사
■ 차례 제사의 준비
1) 집 안팎을 깨끗이 하고 차례 지내는 방을 잘 꾸민다.
2) 모두 목욕 재계하고 단정한 옷을 입는다.
3) 고해성사로 죄와 모든 잘못을 용서받고 마음을 깨끗이 한다.
4) 차례 상을 정성껏 차리되 형식을 갖추려 하지 말고, 조상님께 대접하고 싶은 음식, 평소에 가족이 함께 나누고 싶었던 음식을 차린다.
5) 벽에는 십자고상을 걸고 그 밑에는 조상님의 영정을 모신다. 없으면 그 함자를 정성껏 써 붙인다.
6) 차례 상 앞에는 깨끗한 돗자리나 다른 좋은 깔개를 편다.
7) 가족이 함께 명절에는 본당의 공동체와 더불어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리며, 기일에는 고인을 기억하고 기도하며 선조와 가문과 후손을 위해 미사를 봉헌한다.
■ 차례 예식 순서
① 시작 성가
<성호경을 긋고 시작 성가(54번 등)를 부른다.>
② 성서 봉독
<다음의 성서 가운데 적당한 것을 골라 봉독한다.>
1) 루가 6,43-49 <열매를 보고 나무를 안다.>
2) 신명 16,9-17 <추수절과 초막절> (한가위 명절에)
③ 가장의 말씀
<가장이 선조의 훌륭했던 점이나 가르침, 가훈, 가풍 등을 전해준다.
오늘의 집안 형편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도 일러준다.
하느님의 말씀과 선조의 가르침에 따라 성실하게 살며 가문을 빛내기로 다짐하는 말씀 등을 한다.>
④ 화답 성가
<화답하는 뜻으로 성가(29장 등)를 다함께 부른다.>
⑤ 축문
<축문은 제사의 핵심 부분이다.
조상께 드리는 축문을 조상의 전구를 통하여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문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설 명절에
† 세상 만물을 주재하시는 하느님 아버지, 묵은 한 해를 보내고 희망의 새해를 맞이하였나이다.
오늘 설 명절을 맞아 부족하나마 상을 차려 조상의 은덕과 유훈을 기억하며, 주님의 말씀을 되새기나이다.
하느님, 저희가 주님의 말씀을 따라 서로 사랑하고 봉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이끌어 주소서.
저희 조상들의 공로와 저희의 정성을 보시어 새해에도 주님께 영광이 되고 조상들께는 기쁨의 위로가 되며 저희에게 는 새 생활의 힘과 희망이 되도록 축복하소서.
저희 조상들을 이끌어 주신 하느님 아버지, 부족하고 미약한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
추석 명절에
† 언제나 저희를 자비로이 돌보시는 하느님 아버지, 금년에도 오곡 백과를 풍성하게 주시니 진심으로 감사 드리나이다.
오늘 저희는 한가위 명절을 맞이하여 부족하오나 음식상을 차려 놓고 조상의 은덕과 유훈을 생각하며, 되새기고자 함께 모였습니다.
하느님 아버지, 저희의 정성을 어여삐 보시고 저희 가문을 돌보아주시옵소서. 하느님, 저희가 주님의 말씀을 따라 서로 사랑하고 봉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이끌어 주시옵소서.
(조상님들이시여, 이 후손의 정성을 가상히 보시어 흠향하시고 저희를 언제나 축복해 주소서.)
저희의 이 정성이 하느님께는 영광이 되고 저희에게는 오늘과 내일을 창조하는 건실한 삶의 새로운 다짐과 기약이 되기를 바라나이다. 저희 조상들을 이끌어 주신 하느님 아버지, 부족하고 미약한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소서.
저희를 사랑하시는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
기일에
† 주님의 보살핌으로 오늘 다시
( )께 제사를 올리게 되었나이다. 이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장만하여 드리는 저희의 정성과 사모하는 마음을 받아 주소서.
저희는 언제나 ( )를 기억하여 이 제사를 올리오니 ( )께서는 저희가 주님의 뜻에 따라 서로 사랑하며 화목하게 살아가도록 하느님께 빌어 주소서.
◎ 아멘. |
⑥ 배 례
<남녀를 가리지 않고 나이 순서대로 조상님의 영전에 큰절을 한다.>
⑦ 신앙 고백
<다함께 사도신경으로 신앙을 고백한다.>
⑧ 가족들의 기도
<이어서 가족들은 자녀를 위한 기도, 부모를 위한 기도를 바친다.>
⑨ 개인 기도
<가족들이 한 사람씩 돌아가며 보편 지향 기도를 바친다.>
⑩ 화답 성가
<다 함께 성가(44번 등)를 부르며 기도들을 모은다.>
⑪ 주님의 기도
<다 함께 손을 잡고 바치며 성호경으로 차례 예식을 마친다.>
⑫ 음 복
<제사 상을 물리면 사랑과 나눔의 일치의 식사와 잔치를 이루며, 가난한 이웃들과도 음식을 나눈다.>
3. 조상 제사 예식
■ 조상 제사 예식의 사용
이 예식은 제사(祭祀)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설, 한가위, 한식 등의 차례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사 예식 시안은 죽은 이의 영을 부르며 지붕에 죽은 이의 옷을 매달아 두거나, 제상을 차린 후 문을 닫고 밖에 나가 있는 것, 제사를 시작하기 전에 대문을 열어 두는 것 등은 미신 행위로 규정한다.
■ 준비 사항
1) 몸과 마음 준비 :
제사를 드리기에 앞서 며칠 전부터 몸과 마음을 단정하게 하고,
가능하면 온 가족이 어려운 이웃을 찾아 자선을 행한다.
불목하고 있는 이웃이 있는지를 살펴 기꺼이 화해하기로 다짐하며 고해성사를 한다.
2) 제상 차림 :
제상은 집안의 관습에 따라 차린다.
그러나 향상(香床)에는 향로와 향합, 촛대 외에 중앙에 십자가를 모신다.
■ 예식 순서
① 시작 기도
<제사 준비가 되어 영정(과 위패)을 모시면, 제주(祭主)는 제사의 시작을 알리고, 십자성호를 긋는다.>
② 분향 배례
<참석한 모든 사람이 다 함께 두 번 절한다. 다음에 제주가 영정(위패) 앞에 나아가 무릎 꿇어 분향하고 잔을 받아 미리 준비한 그릇 위에 삼제(三祭)한 다음 제사를 돕는 이에게 주면, 돕는 이는 잔을 올리고 메와 탕 그릇 뚜껑을 열어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하고 물러난다. 참석한 모든 이가 차례로 나아가서 잔을 올린다.>
③ 축문
<이러한 절차가 끝나면 제주가 조상께 고한다.>
† 주님의 보살핌으로 오늘 다시 ( )께 제사를 올리게 되었나이다.
이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장만하여 드리는 저희의 정성과 사모하는 마음을 받아 주소서.
저희는 언제나 ( )를 기억하여 이 제사를 올리오니 ( )께서는 저희가 주님의 뜻에 따라 서로 사랑하며 화목하게 살아가도록 하느님께 빌어 주소서. |
④ 제주 권고
<제주는 아래의 말이나 다른 알맞은 말로 참석자들이 함께 조상을 기억할 것을 권한다.>
† 바오로 사도는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을 인용하여 이렇게 전해 줍니다.
"성서에는 '눈으로 본 적이 없고 귀로 들은 적이 없으며 아무도 상상조차 하지 못한 일을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마련해 주셨다.' 라는 말씀이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까?"(1고린 2,9)
또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우리들 가운데는 자기 자신을 위해서 사는 사람도 없고 자기 자신을 위해서 죽는 사람도 없습니다.
우리는 살아도 주님을 위해서 살고 죽더라도 주님을 위해서 죽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살아도 주님의 것이고 죽어도 주님의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죽은 자의 주님도 되시고 산 자의 주님도 되시기 위해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셨습니다."(로마 14,7-9).
이 말씀으로 우리 ( )께서는 영원한 행복을 누리고 계시며 주님 안에서 우리와 하나 되시어 우리를 위해 기도하고 계심을 믿습니다.
우리는 모두 주님 안에 한 가족입니다. |
(성서 독서)
<또는 제주의 권고 대신 다음의 성서 독서들 가운데 하나를 할 수 있다.>
1) 1고린 2,9 <하느님께서는 모든 이들을 위하여 마련하셨다.>
2) 집회 3,1-16 <어른을 공경하고 순종하여라.>
3) 로마 14,7-9 <주님께서는 산 자의 주님도 되시고 죽은 자의 주님도 되신다.>
4) 요한 15,1-10 <나는 참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로다.>
5) 요한 15,11-17 <벗을 위해 제 목숨을 바치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⑤ 분향 배례
<이어서 돕는 이가 나아가 숟가락을 메에 세운다. 제주와 모든 참석자는 두 번 절한다.>
⑥ 조상 기억과 개인 기도
<모두가 절한 다음 조상을 생각하며 잠시 묵상하며 기도한다.>
⑦ 작별 배례
<이어서 국그릇을 거두고 냉수나 숭늉을 올린다. 제주는 모든 참석자와 함께 작별 배례로 두 번 절한다.>
⑧ 마침 성가
<제사를 마치면서 조상과 가족, 친천들과의 통교를 더욱 깊게 할 것을 결심하고 주님께 감사하며 성가를 부른다.>
⑨ 음복
<영정(또는 위패)을 따로 모신 다음, 참석자들은 술과 음식을 나눈다.
이 식사는 사랑가 일치의 식사이며 조상과 가족 간의 통교를 더욱 깊게 하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축제의 기쁨은 이웃, 특히 소외된 형제들에게도 확장되도록 노력한다.>
■ 제사 때 봉독하는 성서 구절
- 신명 16,9-17 <추수절과 초막절> (한가위 명절에)
- 집회서 3,1-16 <어른을 공경하고 순종하여라.>
- 로마 14,7-9 <주님께서는 산 자의 주님도 되시고 죽은 자의 주님도 되신다.>
- 1고린 2,9 <하느님께서는 모든 이들을 위하여 마련하셨다.>
- 에페소 5,6-20 <빛의 자녀답게 살아가라>
- 1요한 3,14-18 <형제를 서로 사랑하여라.>
- 루가 6,43-49 <열매를 보고 나무를 안다.>
- 요한 15,1-10 <나는 참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로다>
- 요한 15,11-17 <벗을 위하여 제 목숨을 바치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 제사 때 사용하는 성가들
- 001번 나는 믿나이다.
- 024번 내 맘의 천주여
- 027번 이 세상 덧없이
- 028번 불의가 세상을 덮쳐도
- 029번 주 예수 따르기로
- 034번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주
- 044번 평화를 주옵소서
- 054번 주님은 나의 목자
- 059번 주께서 나의 피난처
- 062번 주님의 뜻을 이루소서
- 175번 이보다 더 큰 은혜와
|
- 228번 이 세상 떠난 형제
- 236번 사랑하올 어머니
- 239번 거룩한 어머니
- 399번 주님 안에 하나
- 452번 위험에 빠진 자에게
- 462번 이 세상 지나가고
- 463번 순례자의 노래
- 479번 기쁜날
- 519번 영원한 안식을
- 520번 오늘 이 세상 떠난
|

|